알아서 남주자/language 2007. 6. 10. 21:16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식지 28호 에서 우리말 사전에 대한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사전 찾는 것을 두려워 말라"고 역설하고는 있지만 대부분은 국립국어원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의존하고 있었다. 많은 것이 이 사전으로 해결되기는 하지만, 그리고 유행어의 경우는 네이버 지식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알아두면 좋은, 갖고 있으면 더 좋은 목록을 알게 된 셈. 특히

  •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나이 사전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어휘(물질명사)들에 대해 생성시기와 우리나라에서 쓰이기 시작한 연대를 알려주며, 그 유래와 문학작품들에서 잘못 쓰인 예들을 싣고 있습니다. 딱딱한 연구 자료가 아니라 이야기를 읽듯 술술 읽히는 소설 같은 내용들이 재미를 더해줍니다. 
  • 우리말 역순사전
      역순사전이란 일반적인 사전의 초성, 중성, 종성의 순서로 읽어 나가 '가나다’순으로 그 낱말들을 배열해 주는 것과는 달리, 낱말의 종성, 중성, 초성의 순서로 읽어나가 'ㅎ'부터 배열한 사전입니다.
    예를들어, '밥'의 종류가 어떠한 것들인지를 알아보려 할 때, 보통 국어사전에서는 각 종류의 '밥'이 그 앞의 찰밥, 덮밥 등 '찰', '덮'이라는 수식어에 따라 분산되어 실립니다. 이 사전에는 ‘밥, 덮밥, 팥밥, 개밥, 감자밥’등 125가지의 밥이 한자리에 모여 나오게 됩니다. 또 같은 의미군을 이루는 낱말들을 한자리에 모아 주어 합성어, 파생어 연구에 꼭 필요한 자료이며, 어휘력과 표현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 순우리말/토박이말/우리말 어원
  •  (어휘력을 쑥쑥 키우는) 살려 쓸 만한 토박이말 5000
  •  우리 토박이말 사전
  •  한국어 어원사전
  •  국어 비속어 사전
  •  관용어사전 
  •  한국어 형용사사전
  •  우리말 부사 사전
  •  (한국어 학습용) 어미, 조사 사전
  •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한국어 파생명사 사전

외래어 표기법은 국립국어원 사이트 의 외래어 표기법 을 참고하라는 조언은 이미 실행하고 있었으므로 통과.

관련사이트로는 세 가지가 소개되어 있었다. 역시 잘 가는 곳들. 참고하시길.

'알아서 남주자 >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의 유래  (0) 2007.07.08
비와 바람  (16) 2007.07.01
문학작품 속 아름다운 우리말  (0) 2007.06.07
10대들이 쓰는 말  (0) 2007.06.07
영어발음사전  (0) 2007.05.24
posted by ah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