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eyes/issue

성과지상주의

알 수 없는 사용자 2007. 10. 4. 11:01
  • 지나친 성과지상주의, 도리어 ‘화’ 부른다 사회 더 큰 문제는 일부 기업들이 연봉제를 성과반영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용자의 고용 편의를 위한 방편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급여제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중소기업에서는 본래 의도를 벗어나 인건비 절감, 퇴직금 의무 회피 수단으로 연봉제를 악용하는 사례도 종종 발생한다. 심지어 고과 평점을 의도적으로 낮춰, 고용자들의 정리해고를 수월하게 하는 일까지 자행되고 있다. * 몸의 상처는 곪으면 터지는데...
  • 우주 속 초거대 공간 발견 과학 미네소타대의 천문학자들은 우주에서 크기가 거의 10억 광년이나 되는 거대한 구멍을 발견했다. 이 지역에는 신비의 “암흑 물질”뿐만 아니라 별, 은하, 가스와 같은 보통 물질도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다. 과거에도 거시 규모의 우주 구조에서 공간이 발견된 적이 있지만 이렇게 큰 것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 “실용만을 앞세운 과학교육으로는 안돼” 교육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맹점이 그렇습니다. 실용적인 것만 가르치려고 합니다. 당장 눈앞에 보이는 이익과 현실에만 급급합니다. 과학도 어엿한 학문입니다. 학문을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목적으로만 생각한다면 그 학문은 미래가 없습니다. 또 실용적인 학문만을 가르친다면 우리나라의 미래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창조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 어찌 과학교육뿐인가. 인문은 더욱 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