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 남주자/information
현 조기교육, 뇌발달에 악영향 가능성
알 수 없는 사용자
2004. 12. 25. 03:42
“현 조기교육, 뇌발달에 악영향 가능성” 뇌과학 측면에서 시의적절한 교육시켜야 | ||||||||||||||||||||||||||||||||||||||||||||||||||||||||||
“유아 뇌세포 손상은 청소년 탈선과 연계” 이날 ‘뇌의 신비와 뇌의 미래’란 주제로 첫 강연에 나선 서유현 서울의대 교수는 “갓 태어난 아이의 뇌는 성인 뇌를 기준으로 20%로의 기능밖에 못하고 20년간 서서히 성장한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현재 조기교육은 만 1-2세부터 아이들을 혹사시킬 정도로 선행교육을 강조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아 뇌세포가 손상되어 뇌발달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청소년 탈선과 비행이 이런 조기교육의 부작용과 연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0-3세까지 시각, 청각, 촉각 등 감각교육과 감정교육을 시키고, 3-6세까지는 뇌 앞부분 즉 전두엽이 발달하므로 이곳 기능이 ‘3살버릇 여든간다’는 말처럼 인간성*도덕성 교육과 종합적 창의력 사고를 키워줘야 한다고 했다. 또 언어교육은 6세 이후부터 하라고 서 교수는 권고했다. MRI 등 뇌영상기술, 뇌과학 발전에 기여 뼈로 가장 잘 보호되는 신체장기는 ‘뇌’ 김경진 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장은 “현재 MRI, CT 등 뇌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장치가 개발돼 뇌질환을 진단하고, 개발된 신경약물의 효과측정이 가능해졌으며 뇌 속의 신경기능 규명연구도 수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특히 MRI분야에서 작년에 노벨상이 나올 정도로 뇌영상 분야가 발전하고 있어 뇌 연구 전망도 밝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생쥐에서 어느 특정유전자 하나를 돌연변이 시켜 두려움이 없어지거나 머리가 좋아지거나 질병이 생기는 것을 발견한 사례를 예로 들면서 사람도 해당 유전자가 문제가 생길 경우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런 형태의 유전자 연구로 사람 뇌질환과 연계시켜 치매 등 뇌질환치료약 개발의 길을 열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흥식 고대의대 교수는 “뼈가 몸을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보면 몸에서 가장 딱딱한 뼈인 두개골이 감싸고 있는 ‘뇌’가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다음으로 얼기설기 엮어진 갈비뼈로 감싸인 심장과 허파가 중요하고, 이런 뼈에 반 정도 걸친 간과 신장이 그 뒤를 따른다고 말했다. 또 종의 번식을 담당하는 생식기관, 그 뒤를 뼈가 전혀 감싸지 않는 소화기관이 중요성에 그 뒤를 잇는다고 설명했다. 최근 사람들이 가장 관심이 많은 피부는 이런 보호측면에서 중요 순위에서는 가장 밀린다고 나 교수는 지적했다. 한국, 알콜·니코틴 중독 포함 정신질환 환자 31.4% 과학적으로 10%밖에 규명되지 않은 ‘뇌’
그는 현재 미국에서 10명 중 2명이 정신질환에 시달리고 있으며, 우리나도 100명 3-4명이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증세가 있다고 했다. 더욱이 알콜·담배 중독의 정신질환적 증세까지 포함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31.4%가 정신과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경아 연대의대 교수는 “우리 뇌는 과학적으로 10%밖에 규명되지 않아 연구할 게 무궁무진하므로 많은 과학꿈나무들이 도전해 볼만한 분야”라고 소개했다. 세계 뇌주간행사는 21세기 꿈나무 과학자들과 뇌에 관심있는 성인들에게 뇌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매년 3월 셋째주에 세계 57개국에서 동시에 열리는 행사로 우리나라는 2002년에 시작 올해가 3회째이다. 이번 국내 행사에서는 전국 9개 대학에서 30여개 강연이 실시됐다. <서현교 객원기자>
| ||||||||||||||||||||||||||||||||||||||||||||||||||||||||||